코딩6 너도 코딩 할 수 있어! 5편 (파이선) 앞에서 배운 출력하는 명령어 print( )도 일종의 함수입니다. 파이선 자체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함수라 우리가 따로 만들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이미 만들어진 함수를 '내장 함수' 또는 '빌트인 함수'라고 합니다. print( )와 같은 내장 함수는 사용 방법만 알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nt( )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대표적인 몇 가지만 소개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함수 이름 print( )의 괄호 ( ) 안에 출력할 변수를 입력합니다. 앞서 함수의 구조로 살펴보았던 것과 비슷하지요 만약에 print( ) 함수 안에 하나 이상의 값을 출력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방법으로 더하기(+) 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2. 7. 4. 코딩? 너도 할 수 있어! 4편 (파이선) 이번에는 변수 선언하기를 배워 보실 거예요. 변수로 공간을 찜하는 행위를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말합니다. 기본구조 이해부터 해보겠습니다. 파이선 코드에서는 변수를 어떻게 선언할까요? 변수릐 이름을 쓴 다음, =뒤에 변수에 입력할 값을 적으면 됩니다. 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나이'라는 메모리 그릇 안에 15라는 값이 담깁니다. 앞에서 '=' 기호는 '같다'의 의미가 아니라 ' 2022. 6. 29. 코딩? 너도 할 수 있어! 3편(파이선) '변수' 하면, 아마도 '다음 방정식에서 변수 x의 값을 구하시오'라는 수학 문제 속 '변수'가 가장 먼저 떠오를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막연히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딩에서 말하는 변수는 단순합니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다양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변수의 영어단어 Variable의 뜻은 변동이 심한; 가변적인 또는 변화를 줄 수 있는 이라는 뜻입니다. 왜 저장공간 이름을 다양한 값이라고 했을까요? 공간을 의미하니, 스페이스라고 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변수'라는 개념이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앞서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은 제한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도 지금은 형편이 많이 나은 편입니다. 기본 단위가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니까요. 하지만 30년 전에.. 2022. 6. 27. 코딩? 너도 할 수 있어! 3편 (파이선) 어떤 일을 하려면 많든 적든 '기억해야 합니다. 짐을 옮기는 단순한 행동이라 할지라도, 짐의 모양새를 '기억하죠. 마찬가지로 컴퓨터도 일하려면 '기억'이 필요합니다. 이번 장에서는 컴퓨터에 무엇인가를 기억시키고 싶을 때 어떻게 명령하고, 컴퓨터는 어떻게 기억하는지 알아봅니다. 그리고 컴퓨터에 무엇인가 명령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하는지도 알아봅시다. 컴퓨터에서 기억시키고 행동하게 하는 '코딩'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사람'을 생각하면 됩니다. 코딩과 사람, 연관이 없어 보이나요? 흥미롭게도 코딩은 사람의 특징과 많이 닮았습니다. 아마도 사람이 만든 창조물이라서 그렇겠죠? 사람은 옷, 밥, 장난감, 애완동물 등 무엇인가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은 축구, 야구, 줄넘기, 테니스 .. 2022. 6. 25. 이전 1 2 다음